비만클리닉
비만의 진단
- 체질량지수(Body Mass Index, BMI) 측정
-
체중(kg)을 키(m)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체질량지수(BMI) 라고 합니다. 키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지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.
서양인과 동양인의 판단기준이 다르며, 동양인의 경우 체질량 지수가 25를 넘는 경우에 비만이라고 합니다. 체질량 지수만으로는 근육량과 지방량을 측정할 수 없어 다른 진단과 병행합니다.
- * 체질량지수별 판단
- 8.5~22.9 정상
- 23.0~24.9 과체중
- 25.0~29.9 비만
- ≥30 고도비만
- 생체전기저항측정법(BIA ; bioimpedence analysis)
-
생체전기저항측정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사용하여 진단합니다. 체지방율이 여성의 경우 30% 이상, 남성의 경우 25% 이상을 비만이라고 합니다.
- 허리둘레측정
-
줄자로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입니다.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보조 수단으로 동양인은 남성의 경우 90cm 이상, 여성의 경우 85cm(학회에 따라 80cm) 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이라고 합니다.
- 내장지방측정
-
복부 지방 CT촬영을 해서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율이 0.4 이상인 경우 내장지방형비만이라고 합니다.